목록스파르타 (13)
호비시의 끄적끄적

2022년 3월 부터 2022년 6월 초까지 약 99일간 진행했던 항해 99 6기 뒤늦은 회고. 개발자로서 더 성장하기 위해 시작했던 항해99 짧은 기간, 부족한 커리큘럼, 미숙한 운영 등 여러가지 불만은 많았지만 어느정도 목표는 이뤘다고 생각한다. 첫째, 공부하고 기록하는 습관. 항해 99일간 1273시간, 하루에 12시간 이상씩 공부하였다. 사람이 습관을 가지려면 3개월은 꾸준히 해야한다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다. 항해를 하는 동안 공부하는 습관은 내 몸에 베었고, 앞으로도 항해에서 해왔던 것 처럼 꾸준히 공부할 것이다. 또한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블로그를 작성하고 github을 관리하는 습관이 생겼다. 이는 평생 공부해야하는 개발자로서 꼭 필요한 습관이라 생각한다. 둘째, 협업의 경험 협업이라는 ..

5/28 ~ 6/3 실전 프로젝트를 마치고 쓰는 회고 길고 길었던 실전 프로젝트가 끝이 났다. 마지막 주에는 잔 오류들을 수정, 발표 준비, Slack 알림을 구현하였다. 1차 발표자료를 만들고 피드백을 받은 후 수정한 2차 발표자료 중 일부분이다. 1차 배포를 하고 신규 유저를 받으면서 유저 관리의 불편함을 느껴 slack에 알림이 오게 끔 코드를 작성하였다. @Slf4j @Component public class SlackAlert { @Value("${logging.slack.webhook-uri}") private String slackUrl; public void joinAlert(User user) { log.info("joinAlert"); HttpHeaders headers = new Ht..

2022년 4월 22일 부터 실전 프로젝트를 시작했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조금 늦게적는 5주차 회고 5 / 21 ~ 5 / 27 항해99 다른 조들은 슬슬 배포를 하고 유저 피드백을 받고 있었고, 우리조 또한 MVP의 모든 기능도 끝냈고, 이젠 배포를 해야할 때였다. 하지만 우리조가 만든 서비스는 항해99 처럼 팀을 배정하고 그 팀들이 쉽게 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체크인 서비스인데, 이를 서비스 하기 위해선 관리자 계정이 필요했다. 관리자가 주차와 팀을 생성하고, 그 팀에 새로 가입한 유저들을 배정해야하는 과정이 필요했기에, 다른 팀들처럼 홍보를 하면서 불특정 다수에게 배포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우리조는 항해99 A반 매니저이신 윤지용 매니저님을 비롯한 몇몇 사람들에게 관리자 페이지 유저테스트를 부탁드..

2022년 4월 22일 부터 실전 프로젝트를 시작했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조금 늦게적는 4주차 회고 5/14 ~ 20 MVP 기능을 다 끝내고 5/14 중간발표를 통해 받은 피드백을 기반으로 우리 프로젝트의 부족한 부분을 추가, 보완 하기로 했다. 중간발표 때의 피드백은 다음과 같다. FE ) 1. 기능을 좀 걷어내고, 프론트에서 보여줄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도입 고려 필요 2. 리엑트 리덕스 악시오스를 사용한 이유 3. 파이어 베이스는 어느 기능을 위해 사용했는지? BE ) 1. 채팅 대화 내용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논의 필요 2. 소켓 사용시 어떻게 무중단 배포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 필요 내가 맡은 부분은 채팅이기에 채팅 대화 내용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해봤다. 현재..

2022년 4월 22일 부터 실전 프로젝트를 시작했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조금 늦게적는 3주차 회고 5/7 ~ 5/13 MVP 기능을 완성해야하는 한 주였다. MVP 기능으로 가져간 것은 다음과 같았다. 0. 로그인 / 회원가입 1. 유저의 권한 부여 2. 팀 생성 3. 팀원 추가 4. 팀 보드 게시판 5. 채팅 나는 채팅을 맡게 되었다. 프론트 엔드 한 분이 나가면서 채팅을 백 / 프론트 둘 다 혼자서 해결해야하는 상황이었다. 채팅을 쓰면서 websocket에 대해 알아야 했고, websocket을 더 잘 사용하기 위해 redis의 pub/sub 기능을 사용했다. 처음 겪은 문제는 cors 문제였다. 프론트엔드에서 subscribe 엔드포인트에 요청을 보내도 cors 오류로 연결이 되지 않았다. @Ov..

2022년 4월 22일 부터 실전 프로젝트를 시작했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조금 늦게적는 2주차 회고 4/29 ~ 5/6 본격적인 개발 시작 기획의 방향성이 잡히고 본격적으로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다. 우리의 중점기능을 파악하고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사이를 연결시켜 줄 api 명세서 부터 작성하게 되었다. 0. 로그인 / 회원가입 1. 유저의 권한 부여 2. 팀 생성 3. 팀원 추가 4. 팀 보드 게시판 5. 채팅 ERD를 짜고 API 명세서를 작성한 후 각자 역할을 분담하여 코딩에 전념하기로 했다. 백엔드는 총 3명, 프론트는 총 2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백엔드 역할분배는 1. 로그인 / 회원가입 2. 채팅 3. 게시판 으로 우선 분배하였고 나는 채팅을 맡게 되었다. 프론트의 역할분배는 1. 로그인 / 회원가입..

2022년 4월 22일 부터 실전 프로젝트를 시작했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조금 늦게적는 1주차 회고 4/22 ~ 4/29 3주간의 MVP 구현 실전프로젝트의 기간은 총 6주(4/22 ~ 6/3)이며 앞의 3주동안은 실제 서비스의 최소기능을 구현, 뒤의 3주는 실제 유저들의 피드백을 통해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도록 했다. 기획 기획부터 쉽지 않았다. 개발자들끼리 브레인스토밍을 해서 이런 저런 아이디어는 많이 나왔으나 UX 디자이너 두 분께서 방향성을 잡아주는 부분들이 크게 작용하였다. 첫 아이디어는 스포를 당하는 사이트였는데, 유튜브에 영화요약(결말포함)을 해주는 채널이 많아서 빠르게 짧게 결말을 보고싶어하는 사람들을 위한 사이트를 만들어 보면 어떨까라는 생각에 만든 1차 기획안 하지만 이 기획은 data를..

멀리 있는 친구 집에 전기신호를 어떻게 보낼까? 대략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다 A 집에 스위치가 있고 B 집에 전구가 있다. A 집에서 스위치를 껐다 켰다 하면 B 집에 신호를 전달 할 수 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B집에서도 마찬가지로 스위치를 조작하여 A집에 신호를 전달 할 수 있다. 이렇게되면 A와 B는 서로 통신 할 수 있게 된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위 회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공통적인 회로를 한데 묶어 공통 연결이라 부른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공통연결로 전선이 중복되는 것을 줄였지만 거리가 상당하다면 전류가 흐르지 않을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B 집에 공통적으로 맞닿아 있는 지구에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를 접지라..